ERP 도입 기업의 요구 수준의 변화
ERP를 도입하는 기업들의 요구 수준이 예전에 비해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ERP 도입 Trend 가 바뀌고 있다고 볼 수도 있으며, 그 만큼 erp를 도입하는 기업의 수준도 향상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의 요구조건들이 크게 변화되었다기 보다는 보다 구체화 되고 폭이 넓어졌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현업의 담당자 중 많은 인력이 이미 ERP를 한번씩은 활용해 본 경험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클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학습 효과도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ERP 기업과 솔루션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ERP 기업도 이에 맞추어 시스템을 많이 고도화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나 업종, 그리고 전산실 보유 여부에 따라 내용이 좀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그리 큰 차이는 아닐 것이며, 그 내용을 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장 먼저 업종특화 ERP를 찾는 기업이 매우 많아졌습니다.
반드시 같은 업종에 구축해 본 경험이 있는 기업을 원하며, 해당 업종에 맞춰 특화시킨 모듈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전 같으면 IT 기업의 규모나 인원 납품 실적을 먼저 고려했지만 이제는 그것이 먼저가 아니라 우리회사에 필요한 모듈의 지원이 가능한지, 개발 지원이 가능한지를 먼저 고려하고자 합니다.
이것은 전산실이 있든 없든 마찬가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메이져 기업이라 하더라도 전 업종에 맞는 ERP 제품과 PM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이미 많은 기업들이 알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메이져 기업이 특화된 업종 ERP 구축에서 많은 실패를 했다는 사례를 접해 보았기 때문입니다.
2. 최신 개발도구 기반의 시스템 구축을 원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ERP 시스템 구축에 있어 VB, 파워빌더, 델파이 등의 출이 가장 많이 활용되어 왔으며, 아직도 많은 기업이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Microsoft의 .NET 기반 구축이 활성화 되고 공공이나 금융에서 JAVA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제조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여 .NET 이나 JAVA 로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VB, 파워빌더, 델파이 등으로 개발한 솔루션에 대해서는 구형아닌 구형으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ERP 개발에 있어 개발 도구가 그리 중요한 부분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보고 있어 IT 기업에는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사실 전산실이 있어 소스를 포함한 기술이전을 함께 받는 경우가 아니면 굳이 개발 툴의 종류를 따질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단 하나 Explorer 기반의 WEB을 지원하냐의 여부인 것 같습니다.
ERP가 WEB을 지원하면 신제품이고 지원하지 않는 C/S 기반의 제품이라면 구형 제품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차원이긴 하지만 Croud 서비스가 정착하게 된다면 별 의미 없는 논쟁일 수도 있지만, SCM 등의 일부분만 WEB으로 활용해 오던 기업들이 100% WEB 기반의 제품이 도입된다면 여러면에서 편리성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NET 과 JAVA를 비교하자면 JAVA가 공수가 크게 투입되기에 중소기업에서 JAVA 솔루션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먼저 비용 부담이 크게 발생할 것이며, 저가의 JAVA 솔루션을 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소스 자체가 길어 소스와 기술력 이전을 받는다 하더라도 직접 손을 대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3. 개발 플랫폼 기반의 ERP 시스템을 도입하십시오.
ERP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자체 개발한 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자체적인 개발 생산성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에 좀 큰 기업의 경우에는 개발플랫폼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ERP 기업들은 개발플랫폼이라고 판단하기에는 허술한 경우가 많습니다. 자체적인 역량 부족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문제를 제공하기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개발자가 퇴사를 하여 다른 개발자가 업무를 넘겨 받을 경우에, 소스를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다시 개발하는게 빠르겠다던가 한다면 ERP 고객으로써는 고객지원을 받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것입니다.
패키지 ERP든 SI 든 개발 플랫폼의 중요성은 부인할 수 없으며 이는 현업의 ERP 사용 만족도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UI가 편리해야하며 현업의 요구에 즉시 대응하여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개발 플랫폼에 대한 검토는 전산실이 있는 기업에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는 경우이지만 패키지 위주의 ERP 도입 기업에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지보수 잘 해 주겠다는 ERP 기업의 말만 믿지 말고 개발 편리성과 사용자 편리성이 반영되어 있는 개발플랫폼인지 분명히 검토를 해야 합니다.
기타 여러가지 부분에 걸쳐 큰 항목으로만 표기를 했지만 ERP 도입에 대한 세부 검토 항목을 마련하여 검토를 해야하며, 필요하면 IT 기업에 요청하는 것도 방안입니다.
멀티법인 및 글로벌 사업장에 따른 다국어 지원 여부 등 세부적으로 따져봐야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며, 1차 구축으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니기에 확장 ERP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연계성 및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를 해야 합니다.
Related Posts
Categories: ERP Story
Sorry, comments are closed for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