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ERP 소스 제공 / 기술이전서비스 제공

오랜 기간 기업용 자원 관리 시스템(ERP) 시장은 패키지 솔루션 기업들의 주도로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에 등장한 패키지 ERP 기업들은 마치 다른 선택지가 없는 것처럼 시장을 형성했으며, 현재까지도 소수의 대형 기업들이 패키지 중심의 사업 모델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패키지 ERP를 도입한 많은 기업들이 실제 시스템 활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만족도를 경험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심지어는 도입 후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고민하거나, 결국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안타까운 상황도 발생합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가 시스템 자체의 한계가 아닌,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의 역량 문제인 것처럼 잘못 인식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자체 전산실과 소스 코드 확보의 가치

그러나 자체 전산실 역량을 갖춘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이 ERP 시스템의 소스 코드를 직접 보유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게 된다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ERP 시스템 도입에서 ‘구축’ 단계는 공급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며, 약정된 기간 내 프로젝트 완료와 이후 유지보수 지원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핵심은, ERP의 진정한 성공은 ‘구축’이 아닌 ‘운영’에 달려 있다는 사실입니다.

시스템 구축은 공급 기업이 주도하지만, 구축된 시스템을 기업 환경에 맞게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운영’은 전적으로 도입 기업의 몫이자 책임입니다.

물론, 운영을 외부 공급 기업에 위탁할 수도 있으나, 자체적으로 운영 역량을 확보하고 직접 관리하는 방식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속한 지원의 차이 : 내부 전산실 vs. 외부 유지보수

이러한 만족도 차이는 기술 지원 과정의 신속성에서 비롯됩니다.

기업 내부 전산실의 개발 인력이 직접 시스템을 지원할 경우,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이고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외부 공급 기업으로부터 유지보수 지원을 받는 경우에는 요청 접수, 내부 절차, 담당자 배정 등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습니다.

Related Posts

ERP 도입 - 전산실이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ERP 도입에 있어 주체는 전산실이 되어야 합니다. 가끔 보면  현업이나 임원층에서 알아서 선택해 달라는 식으로 하면서 전산실은 멀리 물러나 있는 경우를 봅니다. 하지만,...
Read more
이맥스 ERP 시스템은 다른 ERP 패키지와 차별화될까?
이재용29277638님, Frame7 ERP 시스템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다른 ERP 패키지와 어떻게 차별화될까? 많은 기업들이 기존 패키지 ERP의 커스터마이징 한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Read more
오픈소스 방식의 ‘OPEN Solution ERP’ 소개
본 EMAX ERP 시스템은 전산실 및 전산개발자를 보유한 기업에 소스 전체를 100% 공개하여 자유롭게 개발, 수정, 운영 할 수 있도록...
Read more
아직도 메이저 Package ERP 만이 대안이라고 생각하는가?
국내 대부분의 메이저 ERP 기업은 패키지 기반의 ERP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시장 수요가 있고 어느정도 브랜드를 알린 후라면 사업이...
Read more

Categories:   EMAX Story

Tags:  

Comments

Sorry, comments are closed for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