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ERP 구축에서 SI 구축으로의 전환 필요성
패키지 ERP 도입과 SI 개발에 대한 비교 분석 자료입니다.
오래 전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던 자료인데 최근의 시점에서 비교해 봐도 적당한 비교인 것 같습니다.
물론, 시장의 TREND가 많이 변하고 새로운이론도 등장했지만, 기본적인 시장 구조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기에 참고할 만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국내 패키지 시장이 열린 지 15년이상이 흐른 현재의 시점에서는 패키지 ERP 도입이 가장 실패 확률이 낮다거나 비용대비 효과가 좋다는말은 좀 바뀌어야 할 듯싶습니다.
오랜 패키지 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업종특화 ERP만을 꾸준히 개발해 온 기업들이 있기에이러한 변화는 ERP 도입 시 가장 먼저 참고해야 할 내용이 아닌가 싶습니다.
특히, 지난 15년여 간 시장을 주도한 패키지 ERP는 국내 ERP 발전에 도움은 되었지만 많은 중소기업에 높은수업료를 지불케 했으며, 이로 인해 ERP 구축이 성공보다는실패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는 오해와 ERP를 통한 현업의 업무 만족도를 크게 낮춰 놓았다는 측면은 부인하기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업종특화 ERP 패키지시장과 업종특화 SI 시장으로의 빠른 전환이 기업과 현업, 그리고전산실을 모두 만족 시키는 방안이 아닌가 합니다.
구분 | Package | SI |
장 점 | -단기간 내에 적용을 마칠 수 있음 | -심도 있는 개발로서 도입 성공률이 높음 |
표준화 | -S/W모듈 자체가 표준업종(수주/양산/조립)의 표준화된 업무를 대상으로 설계, 구축되어 있음
-기업 내 비정형적, 비 표준화 되어있는 업무를 대상으로 Customization이 필요하며, 해당업무가 많을수록 그 양이 증가하고 비용도 추가됨 (기존 전산실 조직 운영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남) |
-설계 시 현업 실무자의 개선의지를 이끌어내어 반영함
-업무 Survey시 실무사용자, 관리자의 표준화 마인드를 고취시켜 동참시킴 |
적 용 | -최초 패키지 제품화 개발 시 업종특화산업을 대상으로 제품화 완료되어있지 않으므로 업종에 따라 적용 시 패키지 제품의 보완 개발이 필요하거나 적용 불가한 경우 발생 | -동종 산업 내의 기업이라도 업무적용기준과 기업고유의 중점 처리업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설계시점부터 조사, 반영함 |
장래 2차
개발 필요 시 |
-패키지 특성상 기본설계 부분은 변경할 수 없으며 패키지 제품을 바꾸어야 함 | -설계 시점부터 발전될 모델의 향후 확장부분을 고려하여 개발
-향후 Sub프로그램을 추가메뉴로 등록하여 운영 가능 |
개방성 | -소스 프로그램 공급 불가
(저작권 문제) |
-소스 프로그램 공급 및 교육 (소유권 취득) 따라서 조정 및 수정이 자유로움 |
기술력 | -공급 업체의 컨설팅 능력 | -기업의 문화, 사고, 행동양식의 차이를 염두에 둔 개발력 |
접근용이성 | -즉시 변경의 어려움 | -소스 프로그램 공급으로 도입회사 1차수정 운영가능
(경영층, 관리자, 실무)사용자 위주의 시스템 (거부감 최소화) |
Related Posts
Categories: ERP Story
Sorry, comments are closed for this item.